Business Area
Smart Airport
공용여객처리시스템과 셀프백드랍/BRS등 여객 터미널의
통합 인프라 시스템을 구축을 통하여 공항에 스마트한 가치를 제공합니다.
통합 인프라 시스템을 구축을 통하여 공항에 스마트한 가치를 제공합니다.
첨단 ICT와 AI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공항 솔루션을 통하여
여객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공항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며,
혁신적인 융합 서비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Next Generation Common Use
Passenger Processing Systems차세대 공용여객처리시스템
Passenger Processing Systems차세대 공용여객처리시스템
차세대 공용여객처리시스템은 유인체크인카운터와 셀프백드랍이 통합된 솔루션입니다.유인체크인카운터와 셀프백드랍을 한 공간에서 운용할 수 있는 차세대 여객/수하물처리 시스템으로, IATA(국제항공운수협회)의 국제표준(CUPPS, CUSS, CUWS)을 준수하여 글로벌 공항에서 운용 가능한 시스템입니다.
차세대 공용여객처리시스템
세부내용
- IATA CUPPS Technical Specification 1.04 준수
- IATA CUSS Technical Specification 2.2.0 준수
- IATA CUWS Technical Specification 2.0 준수
- 셀프체크인 CUSS 플랫폼과 동일한 플랫폼 적용
- 유인 체크인 시스템과 셀프 수하물 위탁 시스템(Self Bag Drop)을 하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시스템 운용가능
- 수하물 형태 인식 기능 : 터브(tub)/캐리어 등
- LIDAR 센서를 이용한 침입 탐지
- RFID, 생체인식 등 첨단기술 지원
- 다양한 디바이스의 국산화 지원 가능 : 여권리더기/수하물태그 프린터 등

Common Use Self Check-in공용 셀프체크인
국내 최초로 공용셀프체크인 시스템의 국산화 개발 및 상용화에 성공하여 인천공항, 김포공항 등 국내 주요
공항에서 안정적으로 운영 중입니다.IATA(국제항공운수협회)의 국제표준(CUSS : Common Use Self Service) 을 준수하여 글로벌 공항에서 운용 가능한 시스템입니다.
구축내용
공용셀프체크인 구축 내용
- IATA CUSS Technical Specification 준수
- ARINC/SITA 셀프체크인 대비 도입 비용 절감
- LTE망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여 설치 및 이동 운용 용이
- 맞춤형 셀프체크인 초기화면 디자인 제공
- 셀프체크인을 구성하는 신규 디바이스 인증 및 항공사를 위한 신속한 기술 지원
- 한국공항공사가 운용하는 9개 공항 및 인천국제공항에서 입증된 안정성 (2016년 ~ 현재)
국내선 공항/Self Check-in
(9개/155대+10대)
김포, 제주, 김해, 청주,
대구, 광주, 울산, 여수, 포항

국제선 공항/Self Check-in
(4개+1개/52대+22대)
김포, 제주, 김해, 대구, 청주

인천국제공항/Self Check-in
일반형

- Korean airport locations
공항 | 설치대수 | |
국내선 | 국제선 | |
0 | 250 여대 | |
67 | 31 | |
30 | 57 | |
73 | 8 | |
10 | 18 | |
14 | 7 | |
8 | 0 | |
8 | 0 | |
8 | 0 | |
2 | 0 |
항공사
국내선 취항 항공사 연계 목록
국제선 취항 항공사 연계 목록

Self Bag Drop셀프백드랍
한국과 중국의 주요 하이테크 공장에
물류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공장 레이아웃 기반의 디지털 모델링과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자재 및 제품 이동의 최적 경로를 제공하는 지능형 물류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합니다.
물류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공장 레이아웃 기반의 디지털 모델링과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자재 및 제품 이동의 최적 경로를 제공하는 지능형 물류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합니다.
셀프백드랍
세부내용
세부내용
- IATA CUSS Technical Specification 2.2.0 준수
- IATA CUWS Technical Specification 2.0 준수
- 셀프체크인 CUSS 플랫폼과 동일한 플랫폼 적용
- 셀프체크인 수준의 성능/품질 및 안정성 확보
- 수하물 형태 인식 기능(터브, 캐리어 등)
- LIDAR 센서를 이용한 침입 탐지
- RFID, 생체인식 등 첨단기술 지원
- 외부 시스템과 연계 개발 지원
- 다양한 디바이스의 국산화 지원 가능
- 미려한 디자인 및 편리성 향상
- 항공사의 요구사항에 신속한 대응 가능
Smart Airport
Reference
BMOT
구축기간 :
2018/10 ~ 2020/01
상세 스펙
- 구축사업
- OLED CIM Project
Site :
BMOT
Solutions :
MES, EAS, MCS
HKC
구축기간 :
2019/08 ~ 2020/12
상세 스펙
- 구축사업
- LCD CIM Project
Site :
H4
Solutions :
MES, EAS, MCS
Customer & Partner
고객 및 파트너사와 기술 협력 모델로 Digitalization Smart Factory 를 선도합니다.

